티스토리 뷰

목차



    이사 준비 할때 체크해야 하는 것들을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가슴이 웅장해짐 여러분~^^

    오늘은 이사할때 체크해야하는 것들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ㅁ<乃

     

     

    이사 한달 전

     

    1) 이삿짐센터 예약

    이삿짐 센터는 최소 1개월 정도 전에 미리 예약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각각의 서비스와 비용이 다르기 때문에 여유를 가지고 업체마다 비교를 한 뒤에 괜찮은 곳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2) 집 배치도 그리기

    이사할 집을 선택하고 나면 집에 대한 구조를 디테일하게 한번 그려봅니다. 기존의 집에 있던 전자기기와 가구를 다시 배치해야 할 경우 수치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이사 당일 짐을 옳길 때 애로사항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새 제품을 배치하더라도 이러한 정보를 모른 채 구매하면 반품을 해야하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배치가 될 수 있으니 꼭 한번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이사 2주 전

     

    1) 버릴 물품 적기

    이사 할 때 버려야 할 물품들에 대해서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청 홈페이지나 주민센터에서 발급하는 폐기물 스티커를 미리 구해서 붙여두시는 것도 좋습니다.

     

    2) 날짜 확인

    부동산에 연락해서 이사 날짜에 대해서 한번 더 체크 합니다. 간혹 인삿날을 서로 다르게 기억하거나 예약이 누락 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으니 한번 더 연락해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이사 1주 전

     

    1) 집 주소 변경

    우편물 받을 곳을 이사하는 집으로 바꿔달라고 우체국이나 은행사이트에 접속해 요청합니다. 신문, 우유 등은 영업소에 그만 넣어달라고 이야기를 해야합니다.

     

    2) 버릴 물건 내놓기

    앞서 버리려고 한 것들을 수거 날에 맞게 바깥에 내놓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새로 배송 와야 할 것들은 이상이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3) 인터넷 케이블 변경

    이사를 가자마자 TV와 인터넷 등을 써야 하기 때문에 통신사 등에 신청합니다.

     

    4) 서류 준비

    만약 전세권설정을 해야 한다면 관련 자료들을 챙기도록 합니다. 그날은 정신이 없을 수 있고 짐들도 모두 푸장되어 있어 빼두지 않으면 등록할 때 필요한 문서들을 또 받아야 하거나 등기를 제때 못할 수 있습니다. 잘못하면 손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유의하도록 합니다.

     

     

    이사 당일

     

    1) 공과금 정산

    계량기의 값을 보고 전기와 도시가스, 상하수도 요금 영수증에 기재되어 있는 번호로 연락해 알려주면 지금까지 사용한 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새로 들어올 세입자에게 이를 인수인계 합니다. 요즘은 이사 가는 날까지 이용한 공과금을 이런 식으로 직접 계산해 납부를 할 수 있습니다. 중개사가 이를 대신해 주기도 하니 부탁을 하면 편리하게 처리 가능하므로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짐 배치

    미리 작성한 걸 보면서 계획한 대로 배치하도록 합니다. 그냥 머릿속으로만 생각하고 짐을 옮기려고 하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로 인해 이삿짐센터와 트러블이 발생 될 수 있습니다. 미리 옮길 곳을 정해두면 이런 번거로움을 겪지 않으셔도 됩니다.

     

    3)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본인이 낸 보증금을 보호받으려면 반드시 주민센터에 신고하도록 합니다.

     

    오늘은 이사할 때 체크해야할 것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미리미리 준비를 해두지 않으면 두번 세번 다시 해야하는 불편함을 겪을 수도 있기 때문에 잘 체크해서 성공적인 이사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이렇게 방문해주셔서 감사드리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