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제이야기

M&A에 대해서 알아보자.

가슴이웅장해짐 2020. 12. 17. 09:20

목차



    M&A에 대해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가슴이 웅장해짐 여러분~^^

    날씨도 점점 추워지고 해도 짧아지면서 아침에 눈을 뜨는게 너무나 힘든 날이네요ㅠ

    코로나로 인해서 밖에 외출도 자제하고 연말 모임들도 모두 취소하면서 집에서만 생활을 하다 보니 '확찐자'가 되어 버릴거 같아요ㅠㅠ

    이럴 때 일수록 더욱 더 건강관리에 유의를 해야 해요~! 하루빨리 코로나가 종식되어 힘든 시간들이 지나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자~~그럼 오늘은 인수합병 M&A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할께요~!

     

     

    M&A란?

    M&A는 Mergers and Acquisitions 의 약자 입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기업의 인수와 합병을 뜻하는데요.

    기업의 인수라는 것은 한 기업이 다른 기업의 주식과 자산을 취득하면서 경영권을 획득하는 것을 말하며, 합병이란 두 개 이상의 기업들이 법률적으로나 사실적으로 하나의 기업으로 합쳐지는 것을 말합니다.

     

     

    M&A의 목적?

    기존 기업의 내적인 성장 한계를 극복하고, 신규 사업 참여에 소모되는 기간과 투자비용의 절감, 경영상의 노하우, 숙련된 전문 인력과 기업의 대외적 신용확보, 경쟁사 인수를 통한 시장점유율의 확대로 경쟁기업의 주식 매입을 통한 M&A 대비 자산 가치가 높은 기업을 인수한 뒤 매각을 해서 차익 획득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인수합병은 그 성격에 따라서 우호적 인수합병과 적대적 인수합병이 있습니다.

    자산인수란?

    대상 기업의 자산뿐 아니라 영업권 등 포괄적 권리를 매수하는 것입니다.

    주식인수란?

    주식 매수를 통해서 회사의 경영권을 인수하는 것입니다. 주주 개별 매수와 증권시장 매수, 공개매수 등이 있습니다.

    흡수합병이란?

    인수 기업이 대상 기업을 흡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신설합병이란?

    양쪽 기업이 합병을 해서 새로운 기업을 설립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역합병이란?

    실질적인 인수기업이 소멸해서 피인수 기업이 존속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국내 M&A관련 제도는?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1월 대량 주식 소유 제한 규정이 폐지되었습니다.(상장기업이 주식을 10% 이상 매입할 때 증권관리위원회의 사전 허가를 받도록 하는 조항을 말합니다.)

    이것으로 인해 인수합병(M&A)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고 97년 2월에 개정된 외국인 투자 및 외자도입에 관한 법률에 따라서 외국인의 M&A가 허용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001년 3월 인수합병 사모펀드 설립 허용과 인수합병 사모펀드의 의결권 제한 폐지 등을 골자로 하는 증권투자회사법의 개정으로 적대적 M&A까지 가능한 사모 M&A펀드가 가능해진 것입니다.

    국내 인수합병은 부실기업 인수와 그룹 계열사 간의 합병이 대부분이며, 해외 인수합병은 신기술 습득이나 해외 유통망 확대 등 기업의 국제화 전략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상 오늘은 인수합병 M&A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이렇게 방문해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리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ㅁ<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