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사모펀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가슴이 웅장해짐 여러분~^^
주식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한번쯤 사모펀드에 대해서 들어보셨을텐데요~
뉴스나 신문에서도 많이 나오는 말이기도 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할께요~!
사모펀드란?
사모펀드는 영어로 Private Equity Fund로 약자로 PEF 라고 합니다.
사모펀드라는 것은 사모방식으로 자금을 조성한 뒤에 주로 비공개 주식시장에 자금을 투자하는 펀드를 말하며 사모투자전문회사 또는 사모펀드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금융기관이 관리하는 일반 펀드와는 달리 사인 간의 계약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따라서 금융기관의 감독을 받지 않고, 공모 펀드와는 달리 운용에 제한이 없어서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합니다.
사모펀드 뜻을 이해하고 PEF가 투자하는 비공개 주식시장에서는 기업이 일반투자자에게 공개적으로 판매하지 않는 비공개 주식이나 비공개 주삭의 성격을 가미한 증권을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고 특정 투자자하고만 사적으로 계약을 하고 거래를 합니다.
비공개 주식 시장에서는 보통 자금 수요자와 공급 수요자 간에 정보를 공유하지 않으며 어느 한쪽이 갖고 있는 정보를 다른 한쪽은 갖고 있지 못하는 등 정보의 비대칭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유동성이 매우 낮고, 투자자 관점에서 보면 고위험의 성격을 갖고 있지만 또한 고수익을 낼 수도 있습니다.
사모펀드의 운용은 비공개로 투자자를 모집해서 자산 가치가 저평가 된 기업에 자본 참여를 하게 하여 기업가치를 높여주고 그다음 기업의 주식을 되파는 전략을 말합니다.
보통 공모 펀드는 동일 종목에 신탁재산의 10% 이상 투자할 수 없고 발행 주식의 20% 이상을 매입할 수 없는데요. 사모펀드는 신탁재산의 100%까지 한 종목에 투자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것 때문에 사모펀드는 재벌들의 계열 지원이나 내부자금 이동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우리가 은행에 직접 가서 펀드에 가입하는 것은 공모 펀드라고 할 수 있으며 사모펀드는 금융 감독기관으로부터 감시나 제약이 없는 펀드로서 인원은 49인 이하의 인원으로 1억원 이상의 투자금을 가진 투자자들로부터 모은 자금을 운용하는 형태입니다.
비공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저평가 되어있는 기업에 자본 참여를 통해서 투자하고 기업의 가치를 올리고 나서 주식을 다시 되파는 방법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사모펀드의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개인들이 투자하기에는 쉽지 않았지만, 요즘에는 채권을 통해서 자금을 공모한 뒤에 이렇게 모인 자금으로 PEF에 다시 투자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PEF는 다른 한편으로 편법 증여의 수단으로 쓰이기도 하는데요.
그 대표적인 이유로는 환매수수료가 없습니다. 공모 펀드와는 다르게 PEF는 환매수수료에 대한 규정이 없다고 합니다.
펀드 투자는 직접투자에 자신이 없는 분들이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본인이 직접투자를 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최근 PEF의 제가 수면위로 올라온 뒤에 안전한 투자는 없다고 생각이 되는데요. 예를 들어 라임사태나, 옵티머스 사태 등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반드시 금융상품에 가입을 하실 때에는 직원의 권유를 믿고 가입하는 것보다는 본인이 꼭 제대로 공부하고 확인한 뒤에 가입을 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오늘은 사모펀드 PEF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추운날씨에 감기 조심하시고 마스크는 필수 입니다!
오늘도 방문해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리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버리지 효과란 무엇인가? (0) | 2020.12.24 |
---|---|
고용유지지원금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12.23 |
겨울철 난방비 절약하는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12.21 |
M&A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12.17 |
연말정산 의료비공제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