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제이야기

레버리지 효과란 무엇인가?

가슴이웅장해짐 2020. 12. 24. 11:00

목차



    레버리지 효과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가슴이 웅장해짐 여러분~^^

    오늘은 경제용어 중 레버리지 효과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해요~!

     

    레버리지 효과란?

     

    레버리지 효과는 차입금 등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로 삼아서 자기자본 이익률을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말로 표현하면 '지렛대 효과' 라고도 표현을 하는데요. 예를 들어서 100억원의 투하 자본으로 10억원의 순 이익을 올리게 되면 자기 자본이익률은 10%가 됩니다. 하지만 자가자본 50억원에 타인의 자본 50억원을 더해서 10억원의 순익을 올리게 되면 자기자본이익률은 20%가 됩니다.

    차입금 등의 금리 비용보다 높은 수익률이 기대가 될 때는 타인자본을 적극 활용해서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분명 단점도 존재하는데요. 만약에 과도하게 타인자본을 도입하게 되면 불황 시에는 금리 부담으로 저항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일을 할 때에 지렛대를 이용하면 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작은 힘으로도 큰 힘을 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에서도 레버리지 효과가 갖는 의미도 과학에서 말하는 지레의 원리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간략하게 표현한다면 타인으로 부터 빌린 자본을 지렛대로 삼아서 자기 이익률을 높이는 것을 말하는데요. 이러한 레버지리 효과를 보기 위해서 사람들은 빚을 내서 부동산에 투자를 하는데 자신의 돈과 은행에서 대출받은 돈을 합해서 이득을 보는 이러한 행위들이 레버리지 효과의 일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레버리지 효과는 기업에도 적용이 됩니다. 예를 들어 새로 사업을 시작하는 벤처 기업가는 종잣돈 10억원을 투자해서 1억원의 순수익을 거두었다면 수익률은 10%가 됩니다. 하지만 자기자본은 1억원이고 9억원을 은행에서 빌렸다면 사업을 통해 1억원의 순수익이 발생되면 수익률은 100%가 됩니다. 

    경영학에서는 이와같은 레버리지를 재무 레버리지라고 표현합니다. 재무 레버리지란 기업이 타인의 자본을 이용해서 기업의 이익 변동성을 확대하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빚을 낸다는 것은 상당한 리스크를 가지고 있습니다. 빚을 내서 주식을 사는 사람들 중 성공한 사례는 매우 드문 경우 입니다. 오히려 이익보다는 큰 손실을 입는 경우가 훨씬 많죠? 

    레버리지 효과는 잘 활용하면 득이 될수 있지만 잘못되면 독이 될 수가 있습니다.

     

    이상 레버리지 효과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이렇게 방문해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리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ㅁ<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