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인 암
암을 유발하는 원인 중에는 우리가 생각지도 못했던 것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건강을 위해서 먹었던 것들이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먹으려고 했던 음식에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괜찮겠지 하는 안일한 생각에 무턱대고 먹었다간
내 몸에 암을 키우게 되는 무서운 일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내 몸에 암을 일으키는 음식의 이상 증세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옥수수입니다.
톡톡 터지는 식감과 은은한 단맛이 매력적인 옥수수, 그러나 옥수수는 보관기간이 짧아 곰팡이가 잘 피는 음식입니다.
옥수수에 생기는 곰팡이에는 '푸모니신'이라는 독소가 들어있습니다.
이는 국제 암연구소에서 발암 가능성이 있는 2B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주로 오염된 옥수수나 밀, 쌀 등에서 발견되는 독소입니다.
푸모니신을 섭취하면 설사, 복통 등 급성 중독 반응이 나타날 수 있고, 장기간 섭취할 경우 식도에 암을 일으킨다는보고가 있어 옥수수를 섭취하기 전 이러함 곰팡이가 있는 건 아닌지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푸모니신은 100도로 가열해도 사라지지 않으며 곰팡이가 핀 부분만 제거하고 먹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곰팡이 포자가 옥수수 전체로 퍼져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곰팡이가 발견된 옥수수라면 아깝다고 해서 절대로 먹지 말고 과감히 통째로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 계란입니다.
대부분은 마트에서 직접 물품을 구매하지만 요금엔 배달을 이용해 장을 보는 분들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가끔 계란을 구매할 때 종종 배달사고로 인해 계란이 깨진 상태로 받을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깨진 계란을 드실 때 특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녹색식품안전연구원이 깨진 계란과 정상 계란의 세균 증식 여부를 실험 측정하였더니 처음엔 깨진 계란과 정상 계란 모두 세균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72시간 뒤에는 깨진 계란의 세균수만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특히나 계란은 정산 계란이라 하더라도 닭의 분변이 묻어 계란 껍데기에 존재하는 '살모넬라균'에 의해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당연히 깨진 계란은 더더욱 그 위험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살모넬라균은 복통, 설사, 구토, 발열 등을 일으키며 면역력이 약한 사람의 경우 목숨까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따르면 달걀을 구입할 깨는 균열이 없고 냉장 보관된 것을 선택해야 하며 '살모넬라균'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계란 등을 만지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깨끗하게 씻고, 계란이 들어간 식품은 중심온도 74℃에서 1분 이상 가열 조리한 후 섭취해야 안전하다고 합니다.
만약 깨진 계란의 보관 상태나 신선도가 의심된다면 주저하지 말고 과감하게 버리는 것이 안전하겠습니다.
세 번째, 고구마입니다.
쌀쌀한 날씨 하면 떠오르는 먹거리, 바로 고구마가 빠질 수 없습니다.
그러나 고구마 역시 드실 때 잘 보고 드셔야 합니다. 고구마에 생기는 검은 반점 때문입니다.
고구마의 검은 반점은 병원균의 일종인 '검은 무늬병(흑반병)'에 감연 된 고구마일 수 있습니다.
검은 무늬병은 고구마를 수확할 때 생긴 상처에 균이 침투에 발생하거나 잘못된 보관으로 생기는 병의 일종으로
'이포메아마론'이라는 강력한 독소가 들어있습니다.
이것이 몸에 섭취된다면 속이 메스껍고 고열과 복통, 설사, 호흡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하면 폐와 간을 괴사시킬 수 있는데 이 때문에 폐와 간에 관련된 질환자나 노약자의 경우라면 특히 고구마를 섭취할 때 이러한 병에 감연 된 고구마가 아닌지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검은 무늬병'은 전염성이 강해 고구마 전체에 독소를 퍼트릴 뿐만 아니라 심지어 함께 보관한 고구마에도 전염 가능성이 있어 보관할 때 '검은 무늬병'에 걸린 고구마가 있는 건 아닌지 꼼꼼히 살필 필요가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검은 무늬병'에 걸리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부위에도 독소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쓴 맛이 나는 고구마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검은 무늬병에 걸린 고구마는 반점이 있는 곳을 도려낸다 하더라도 강력한 전염성으로 인하여 이미 고구마 전체에 독소가 퍼져있을 수 있으며 익혀도 독성이 사라지지 않으니 아깝다고 먹지 말고 과감히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네 번째, 토마토입니다.
비교적 시중에서 상품성이 떨어져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일명 '못난이 토마토'에는 흠집 난 토마토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흠집 난 토마토를 절대 그냥 드시면 안 됩니다.
토마토는 다른 과일에 비해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잇고 껍질이 얇은 편이기 때문에 흠집 사이로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과일입니다.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흠집 난 토마토의 세균 정도를 측정하였더니 흠집이 없는 토마토에 비해 무려 72배가 넘는 세균이 측정되었습니다.
흔히 세균이 많다고 생각되는 화장실 변기보다도 무려 1.7배 더 많은 수치가 발견되어 충격을 금치 못하였습니다.
이렇게 세균에 오염된 토마토를 장기간 섭취하면 세균이 혈관을 타고 들어가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해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니 흠집 난 토마토는 절대 생으로 섭취해서는 안됩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이러한 세균들은 100도 이상에서 사멸되기 때문에 토마토를 깨끗이 씻은 뒤 충분히 가열해서 먹으면 보다 안전하게 드실 수 있겠습니다.
다섯 번째, 생각입니다.
쌀쌀한 계절이 다가오면 떠오르는 것이 김장입니다. 차로도 많이 끓여 마시고, 김치도 담글 때 들어가는 재료 중에 빠질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생강입니다.
그런데 생강을 잘못 썼다가 암에 걸릴 수도 있다는 사실, 생강을 잘못 보관했다가 썩게 되면 '아플라톡신'과 '사프롤'이라는 아주 강력한 독성이 생기게 됩니다.
이 성분들은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미국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사용을 엄격히 금지한 성분입니다. '아플라톡신'은 인체 발암물질 1군, '사프롤'은 인체 발암 가능 물질 2B군에 분류된 성분이며 이것이 몸속에 흡수되면 빠른 속도로 간세포를 손상시키고 간을 괴사시켜 간암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우리 몸에 각종 암을 유발하는 무서운 독성입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썩은 생강의 위험성을 모른다는 것입니다.
썩은 생강의 발암물질은 물에 끓이거나 익혀도 사라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버리기 아깝다고 썩은 부분만 잘라내고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눈에 보이지 않는 발암성분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절대 사용하지 말고 과감하게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여섯 번째, 곡류, 견과류입니다.
요즘엔 건강을 생각해 견과류를 섭취하는 분들이 부쩍 늘어났습니다.
그러나 보관한 지 오래됐거나 보관방법이 잘못된 견과류는 건강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곡류나 견과류에서 생기는 곰팡이에는 '아플라톡신'이나 '오크라톡신', 제랄레논' 등이라는 치명적인 발암물질이 자연적으로 생기기 때문입니다.
세계 보건기구에 산하 국제암연구소에서 발암물질 1급으로 분류하고 있는 '아플라톡신'은 주로 땅콩, 보리, 밀, 옥수수, 쌀 등에서 검출되는데 기준치 이상 섭취하면 간에 독성을 일으켜 간암을 유발하며 간염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아플라톡신을 섭취하게 되면 간암 발생 위험도가 60배 이상으로 올라간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또한 '오크라톡신'은 콩팥에 심각한 손상을 '제랄레논'은 생식기능 장애나 난임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곡류, 콩류, 견과류 등을 보관할 때는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 습도 60% 이하, 온도는 10~15도 이하에서 보관하고, 최대한 온도 변화가 작은 곳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보관할 때 밀폐된 용기에 넣어 냉장고에 넣어두거나 오래 안 먹을 경우에는 반드시 냉동 보관해야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곰팡이독소는 곰팡이가 생긴 식품 내부에 생성되고 열에 강해 세척이나 가열에 의해 쉽게 제거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곰팡이가 피었거나 식품 고유의 색깔, 냄새 등이 변한 식품은 절대 섭취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상 여기까지입니다.
많은 분들이 괜찮겠지, 하며 곰팡이 부분만 제거하고 드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아까워하지 않고 과감히 버려, 소중한 건강 챙기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건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 염증에 좋은 음식, 염증 일으키는 음식 (1) | 2022.10.05 |
---|---|
콜레스테롤 확! 낮추는 음식 6가지 (1) | 2022.09.22 |
소금이라고 다 같은 소금이 아닙니다! 철일염, 꽃소금, 맛소금 어떻게 다를까? (0) | 2022.05.26 |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소금! 어떠 효능이 있을까? 소금의 효능! (0) | 2022.05.25 |
죽염, 함초소금, 히말라야 핑크솔트까지 신비한 소금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5.25 |